중소벤처기업연구원)해외중소기업정책동향
페이지 정보

조회 2,816회 작성일 22-09-05 11:59
본문
Ⅰ. 이슈 분석
[주요국의 중소기업 정책 거버넌스]
□ 개요
ㅇ OECD는 38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정책 거버넌스를 비교·분석
□ 중소기업 정책 목표와 프레임워크
| 
                정책 목표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정책 프레임워크  | 
            ||
| 
                중소기업 전략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중소기업 액션플랜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기타  | 
            |
| 
                경쟁력·성장·혁신· 디지털화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한국, EU, 독일 뉴질랜드, 스페인, 헝가리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미국, 일본, 호주, 이스라엘, 네덜란드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프랑스, 영국, 캐나다  | 
            
| 
                기업가정신·벤처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한국, 뉴질랜드, 헝가리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미국, 일본, 호주, 이스라엘, 핀란드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프랑스, 영국  | 
            
| 
                일자리·고용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-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핀란드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-  | 
            
| 
                지속가능성·지역균형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EU, 독일, 스페인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네덜란드  |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캐나다  | 
            
| 
                주 : 정책 목표는 국가별 우선순위가 높은 2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매칭  | 
            |||
□ 중소기업 거버넌스
ㅇ 부처 및 장관 : (전담) 한국, 미국, 프랑스 / (병행) 뉴질랜드, 호주, 캐나다
ㅇ 행정부 위원회 : 스페인, 헝가리, 말레이시아, 태국, 독일
ㅇ 입법부 위원회 : 미국 상·하원, EU 중소기업 인터그룹
□ 시사점
ㅇ 중소벤처기업부 관장사무에 ‘중소기업 정책의 총괄·조정’ 관련 내용 추가
ㅇ 중소벤처기업부에 중소기업 지원사업 예산의 배분·조정 기능 부여
ㅇ 국회 중소벤처기업위원회 신설
Ⅱ. 주요 동향
□ [글로벌] 유니콘기업 현황
ㅇ (종합) 글로벌 유니콘기업은 917개로 3조 368억 달러의 기업가치 보유
ㅇ (특징) 코로나19 이후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유니콘기업이 큰 폭으로 증가
ㅇ (한국) 한국의 유니콘기업(11개)은 핀테크·전자상거래와 유통·물류 중심으로 활동
ㅇ (시사점) 유니콘 후보기업의 다양성 확보와 스케일업 지원 확대 등
□ [글로벌] 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5가지 고려사항
ㅇ 탄소중립 ‘선언’을 ‘계획’으로 전환(Net-Zero Plan)
ㅇ 탄소중립 전환자본 조달(Net-Zero Trasition Capital)
ㅇ 친환경 자재 확보(Green or Greener Material)
ㅇ 디지털 기반의 정보 측정과 공개(Measurement and Disclosure)
ㅇ 복원력에 대한 투자(Resilience)
□ [일본] ESG 투자 확대를 위한 실무과제와 대응노력
ㅇ (과제) ESG 정보공개 확충 → (대응) 자가진단 및 컨설팅 지원, 정부사업 연계
ㅇ (과제) ESG 평가의 투명성 제고 → (대응) 평가방법과 체계의 표준화(민-관 공동)
ㅇ (과제) ESG 투자관점 확립 → (대응) 우수사례 발굴 및 포상, 멘토-멘티 프로그램
□ [중국]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조치
ㅇ (배경) 시진핑의 ‘공동번영’을 위한 열쇠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추진
ㅇ (내용) 혁신지원, 개발환경, 자금조달, 인적자원 및 서비스, 녹색전환과 품질개선
ㅇ (특징) 중국 공산당 내 최고위급 TF(영도소조) 운영을 통한 대책 마련
ㅇ (시사점) 18개 부처·기관이 조치이행, 책임분담 등 ‘Think Small First’ 원칙 적용
첨부파일
- 
               	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해외 중소기업 정책동향 12월호20211227 최종.pdf  (632.4K)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54회 다운로드 | DATE : 2022-09-05 11:59:52 
관련링크
- 이전글[보도자료] 포커스 22-10호 '준비된 가벼운 청년 창업을 위하여' 22.09.05
 - 다음글[보도자료] 임금피크제 도입을 우려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위한 대응방안 제시 22.09.05